<aside> 💡
날짜&장소 : 2024.09.25(수), 11:30 - 1:30, A동 4층 프로젝트룸 B2
9월 도서 : 완벽에 관하여, 마크 앨리슨
발제자 : 백미진, 안지윤, 조현선
참석자 :
진행 방식
벨라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웃었는데, 우리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프로젝트 관리를 하는 모습과 같다는 생각을 했어요. 책이나 매체를 통해 배우는 이론이 실전에서 여러 사람이 엮이는 순간부터 다양한 양상으로, 상황으로, 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현장에서 일을 해보는 경험은 정말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management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죠. 더이상 나 개인의 일이 아니고 모두가 함께 하여 결과를 내야 하는 일이고, 그덕에 여러 사람의 이해 관계가 엮여 있으니 그 과정에서는 다양한 논의가 오가며 서로의 이해 관계에 대한 절충안을 내놓고 합의를 해야 일을 원만하게 진행하여 우리가 원하는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 점에서 보아 내가 여러 사람과 함께 일을 하는 과정에서 '완벽하다'는 것의 정의는 무얼까 생각했습니다. 내가 추구하는 '완벽함'과 한 팀으로 움직이는 우리의 '완벽함'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완벽함이라는게 과연 정의를 내릴 수 있는걸까요?
'나는 완벽주의자야'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시다면 당신의 완벽주의의 정의가 무언지도 궁금합니다.
준
288P
인생의 길에서 ‘자유’ 때문에 고민한 기억은 많지 않다. 내가 겪은 어려움은 대부분 ‘의지’에 관한 것이다.
의지는 사람의 행동에 달려 있다. 모든 영역에서 능력과 성취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의지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데, 나는 이 점이 늘 의아했다. 사람들은 의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서 의지의 결과에만 초점을 맞춘다. 과정은 대부분 무시된다. 어떤 음악가나 운동선수가 비범한 재능을 보이면 세간의 주목을 받는다. 이때 사람들이 열광하는 것은 의지의 결실이 무대에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상품화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며, 의심이나 실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년간 굳은 결의를 품고 열심히 연습해야 거둘 수 있는 결과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했는지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의지는 행동에 중심을 두지만, 그 마법은 우리의 능력과 정체성까지도 바꿀 수 있다. 의지의 결과를 인식할 때 영감을 줄 수도 있을 만큼 의지는 강력한 힘이 있다.
저는 의지에 대한 부분이 참 인상 깊었습니다.의지는 타고나는 것일까요, 아니면 개발할 수 있는 것일까요? 강한 의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들은 무엇일까요? 의지가 약해졌을때 다시 점화시켜본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그 의지를 다시 개발하는 팁을 공유해보아요 _